약물에 의한 QT 연장 증후군 예측 방법

판매 대리인 : 기율특허

전화번호 : 02-782-1004

메일주소 : kiyul@kiyul.co.kr

판매특허요약 : 본 발명은 약물에 의한 QT 연장 증후군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격 : 없음

SKU: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카테고리: , ,

출원번호 : 10-2017-0068839 (출원일: 2017-06-02)

등록번호 : 10-1896637 (등록일: 2018-09-03)

특허권자 :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요약 : 본 발명은 약물에 의한 QT 연장 증후군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QT 간격 연장 예측 모델 및 이를 이용한 QT 연장 증후군 예측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약물의 hERG IC50 값 및 약물의 최대 혈중 농도(Cmax)와 곡선하 면적(AUCinf)을 활용한 QT 간격 연장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모델을 이용하여 약물에 의한 QT 연장 증후군을 예측한 결과, 그 정확도가 높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QT 연장 증후군 예측 방법을 이용하여 신약 개발 과정에서 신뢰성 있는 새로운 QT 연장 평가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표청구항 : 약물의 hERG(human ether-a-go-go-related gene) IC50 값을 측정하여 입력하는 단계;약물이 투여된 실험 동물의 혈중 약물 농도를 측정하여 입력하는 단계;상기 입력된 혈중 약물 농도를 통해 약물의 최대 혈중 농도(Cmax) 및 곡선하 면적(area under the curve, AUCinf)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의 hERG IC50 값, 약물의 최대 혈중 농도(Cmax) 및 곡선하 면적(AUCinf)을 QT 간격 연장 예측 모델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T 연장 증후군 예측 방법. 상기 QT 간격 연장 예측 모델은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되는 것으로, [수학식 2][이미지]여기서 Base는 hERG IC50 값이 0으로 수렴될 때의 QTc 간격 변화(ΔQTc)이며, α는 hERG IC50 값이 증가함에 따라 Base 값으로부터 QTc 간격의 최대 변화량이 감소하는 기울기를 의미한다. TVα는 최종적으로 약물의 Cmax와 AUCinf를 고려한 α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θi는 α의 대표 값을 의미하며, θ1은 약물의 Cmax에 따라 α값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θ2는 약물의 AUCinf에 따라 α값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ηi는 각 약물별 α값의 차이를 의미한다.

상세링크 : http://newsd.wips.co.kr/wipslink/api/dkrdshtm.wips?skey=3518372001157